728x90 React24 [React]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vs HTTP 서비스 아키텍처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vs HTTP 서비스 아키텍처1. 정의이벤트 기반(Event‑driven) 아키텍처시스템에서 발생한 ‘사건(이벤트)’을 메시지로 발행(publish)하고, 구독(subscribe)한 컴포넌트가 비동기로 처리예시: 주문 생성 → 재고 서비스가 “재고 감소” 이벤트 처리HTTP 서비스(요청/응답) 아키텍처클라이언트가 HTTP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즉시 응답하는 동기 방식예시: GET /orders/123 요청 → 주문 정보 반환2. 주요 차이점구분이벤트 기반HTTP 서비스통신 방식비동기 (Asynchronous)동기 (Synchronous)결합도느슨 결합 (loose coupling)상대적으로 강한 결합응답 보장발행만 보장, 처리 성공 불투명요청‑응답으로 성공/실패 명확확장성수평 확장 .. 2025. 4. 18. System.Text.Json을 활용한 네이버 로그인 응답 처리 개선 네이버 사용자 정보 응답 처리 개선 - JsonDocument → JsonSerializer기존에는 네이버 사용자 정보를 처리할 때, 아래처럼 JsonDocument와 GetProperty()를 활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var userInfoJson = JsonDocument.Parse(json).RootElement;var response = userInfoJson.GetProperty("response");var naverId = response.GetProperty("id").GetString();var email = response.TryGetProperty("email", out var emailProp) ? emailProp.GetString() : null;하지만 이 방식은 유지보수성.. 2025. 4. 10. [SSO] 네이버 소셜 로그인 연동 및 보안 고려사항, (팝업 기반 소셜 로그인 처리 방식) 1. 네이버 소셜 로그인 연동 개요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네이버 소셜 로그인을 연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사용자가 네이버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 창을 통해 네이버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됩니다.사용자가 네이버에서 인증을 완료하면, 팝업 창은 액세스 토큰을 포함한 정보를 부모 창(메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합니다.부모 창은 전달받은 액세스 토큰을 사용하여 네이버 API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가져옵니다.2. 팝업 창에서 부모 창으로 데이터 전달팝업 창에서 부모 창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window.opener.postMessage 메서드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백엔드에서 다음과 같은 HTML을 반환하여 팝업 창에서 부모 창으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var html = $@" .. 2025. 4. 10. [OAuth2] 기존 시스템에 네이버 소셜 로그인 기능 연동하기 (JWT + 팝업 방식) ✅ 프로젝트 목표기존 이메일/비밀번호 로그인 시스템이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에 네이버 소셜 로그인(OAuth2) 기능을 추가합니다. 로그인 후 네이버 계정을 통해 별도 회원으로 가입되며, JWT 방식으로 인증 처리됩니다.✅ 전체 동작 시나리오사용자가 "네이버 로그인" 버튼 클릭팝업 창으로 네이버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로그인 성공 후, 등록된 redirect_uri로 code 와 state 전달백엔드에서 access_token 요청 → 사용자 정보 요청네이버 UID로 사용자 조회 → 없으면 자동 회원가입JWT 발급 → 팝업창에서 부모창으로 전달부모창은 토큰 저장 후 로그인 상태 처리✅ 핵심 처리 방식naverId: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비식별 UID로, 계정 식별자로 사용됨이메일: 사용자 정보 중 하나지만, 로.. 2025. 4. 2. [React] Material-UI Popover 위치 보정과 애니메이션 적용 시행착오 기록 이번 글에서는 Material-UI의 Popover 컴포넌트 사용 중 겪었던 시행착오와, 위치 보정 및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을 적용하기까지의 해결 과정을 기록합니다.1. 문제 상황처음에는 Material-UI의 Popover를 사용하여 특정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이 열리도록 구현하였습니다. 하지만 팝업 내부의 내용이 확장될 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내용이 확장되면 Popover가 화면 밖으로 벗어나는 현상Popover 위치가 자동으로 보정되지 않아 부자연스러운 UI위치 보정이 되어도 움직임이 너무 딱딱해서 UX가 나쁨2. 처음 시도한 방법 (실패)처음에는 Popover를 Popper로 변경하여 popperRef를 사용해 위치를 직접 업데이트하려고 했습니다. {/* 내용 */} 문제점:기존.. 2025. 3. 14. [React] Material-UI Popover에서 Popper로 전환한 시행착오 1. 배경 및 요구사항프로젝트에서는 Popover를 사용하여 특정 UI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팝오버가 열려 있는 동안에도 배경 요소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요구사항이 존재하였다.2. 초기 시도: Popover의 ModalProps 활용Material-UI Popover는 내부적으로 Modal을 사용하여 포커스를 팝오버 내부로 강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에 ModalProps를 이용하여 백드롭 숨김, 스크롤 잠금 해제, 포커스 강제 해제를 시도하였다. 아래 코드는 그 예이다. {/* Popover 내용 */}그러나 이 방법을 사용하면 TypeScript 에러가 발생하였다.오류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Property 'ModalProps' does not exist on type 'Int.. 2025. 3. 14. [React] React Query 사용법 | 데이터 캐싱과 리페칭 쉽게 정리 React Query란?React Query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패칭 라이브러리이다. API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고, 캐싱하고, 업데이트하며, 동기화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만들어 준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데이터 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할 수 있다.✅ React Query, 왜 사용해야 할까?자동 캐싱과 데이터 동기화데이터를 자동으로 캐싱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다시 가져온다.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서버 상태 관리 간소화API 호출, 로딩 상태, 에러 처리 등을 직접 관리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다.편리한 리페칭(Refetching)특정 조건(.. 2025. 3. 14. [React] React와 TypeScript로 구현하는 다양한 텍스트 들여쓰기 기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React 컴포넌트를 활용하여 텍스트 들여쓰기 효과를 다양하게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특히, 첫 번째 줄은 18px, 두 번째 줄부터는 36px 들여쓰기가 적용되는 "indentDouble" 타입을 포함한 여러 타입의 구현 예제를 제공하여, UI의 가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import React from 'react';import { Box, Typography } from '@material-ui/core';interface FaqAnswer { type: 'br' | 'indent' | 'indentAll' | 'indentDouble' | string; text: string;}// 다중 텍스트 들여쓰기 구현 함수const generateAnswer = (co.. 2025. 2. 11. [React] React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 설치해도 괜찮을까? 완벽 정리 📌 React 프로젝트마다 다른 버전 설치해도 괜찮을까?React 프로젝트를 여러 개 작업하다 보면 각 프로젝트에서 다른 React 버전을 사용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그런데, 한 폴더에서 React 17을 쓰고, 다른 폴더에서 React 18을 설치해도 괜찮을까요?결론부터 말하면, 각 프로젝트 폴더마다 React 버전을 다르게 설치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React 프로젝트별 버전이 충돌하지 않는 이유각 프로젝트는 독립적인 패키지 환경을 가짐다른 프로젝트의 node_modules/ 폴더와 충돌하지 않음package.json과 package-lock.json을 기반으로 버전이 고정됨🔹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 중인 React 버전 확인하기터미널에서 해당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후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세요... 2025. 2. 6. 이전 1 2 3 다음 728x90